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육군 병과 소개

수프 리더 2023. 8. 9. 22:57

대한민국 육군 병과 소개 병과란 임대 또는 임관후 최초 분류되어 해당 분야에서 근무하게 되는 특기 과목을 의미한다. 육군에서는 다양한 병과가 존재하며, 그 병과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육군 병과에 대하여 소개해 보고자 한다.

 

1. 구분별 병과

 

가. 전투 병과

직접 전투를 수행하는 병과로서 보병, 포병, 기갑, 공병, 정보통신, 정보, 방공, 항공 등이 있다. 대부분의 대단위 부대(대대급 이상)는 이와 같은 전투 병과 출신의 장교만이 지휘관이 될 수 있지만 국군병원장이나 군판사 등 비전투 병과 출신에도 대대급 이상의 지휘관이 있으며 국군수도병원의 원장 직함은 연대장의 대우를 하는 지휘관이므로 비전투 병과에도 대규모 부대의 지휘관 보직이 존재한다. 이러한 전투병과 장교들은 자신의 고유 병과 지식을 바탕으로 지휘관 업무 또는 참모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참모 업무는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직능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직능에는 인사, 정보, 작전(교육), 군수등이 있다. 본디 특수작전병과가 존재해야 맞지만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보병과 통합하여 운용한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군에는 외국 군대에는 존재하는 특수작전 병과가 없다.

 

나. 기술 병과

기술 병과는 직접 전투를 수행하지는 않지만 전투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를 담당하는 병과로서 병기, 병참, 수송, 화생방이 이에 속한다.

 

다. 행정 및 특수 병과

행정 및 특수 병과는 전투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군대의 유지에 필요한 병과를 의미한다. 인사, 군악, 공보정훈, 군사경찰, 재정병과와 같은 행정병과와 의무, 법무, 군종과와 같은 특수병과가 있다. 특히 공보정훈, 군종, 간호과는 아무리 계급이 높아도지휘관의 직책을 담당할 수 없다. 다음은 제한적으로나마 존재하는 전투근무지원병과의 병과별 지휘관 직책이다. 인사 - 국군인쇄소장, 군악 - 군악대장, 공보정훈 - 해당없음(지휘관이 될 수 없는 병과), 군사경찰 - 대대급까지 보병과 동일함, 재정 - 국군재정관리단장, 국군재정관리단- 본부중대장, 의정 - 국군병원장, 각 부대 의무대장, 군의 - 국군의무사령관, 국군의무학교장, 국군병원장, 각 부대 의무대장, 법무 - 고등군사법원장, 군법 재판장, 군종 - 해당없음(지휘관이 될 수 없는 병과) , 간호 - 국군간호사관학교장,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대장이 있다. 

 

육군 병과는 이처럼 다양하며 병과별로 세부 특기가 또 나뉘게 되어 굉장히 복잡하기도 하다. 군에서 본인의 적성에 맞는 병과와 특기를 선택한다면 직업 군인도 매력적인 직업중에 하나가 될수 있을 것이다. 용사 또한 그냥 분류되는 특기도 있지만 모집병 제도가 있어 본인의 특기를 살릴수 있으니 입대전 병무청에 문의후 개인의 재능을 더 발전시킬수 있는 병과 및 특기를 선택하기 바란다. 이상 육군 병과에 대하여 소개해 보았다.